Skip to main navigation menu Skip to main content Skip to site footer

The Cultural Anatomy of Korean Nationalism: From imperative to anachronism

Front cover of INContext Volume 1, No. 1, published in November 2021.

Abstract

ABSTRACT: Most foreign observers are struck by the highly palpable nature of Korean nationalist sentiment, especially during times of friction with Japan or during major international sporting events such as the Olympic Games or the World Cup. However, if these observers spend any significant time in Korea, they often become aware that South Korean society is a highly fractious landscape characterized by conflicting ideologies, regional antagonisms, segregation by class, and a number of other societal fault lines. The natural question is what role, if any, this very visible nationalism plays in uniting South Korean society in the absence of any external stimulus and, if it does not, what the reason is. This essay argues that constructing Korean nationalism based largely on a common blood lineage has rendered it ineffectual in ameliorating intra-Korean conflict. In fact, Kang Jung In and Jung Seung Hyun have proposed the concept of the “overdetermination of other theories by nationalism.” This is the idea that ethnic nationalism, by virtue of its near religious status, is used to bestow authenticity, genuineness, or authority on disparate ideologies. The radical left and right attack each other from the position of being the bastion of “real” or “ true” Korean-ness representing the minjok (ethnic nation). This is also the method used by the governments of both Koreas to demonstrate their legitimacy as the rightful representative of the Korean people. This essay, after discussing the process of the formation of Korean nationalism, first problematizes the sacred and tribal characteristics of modern Korean ethnic nationalisms and posits that the unique process of its formation has resulted in a doctrinaire-like ideology that actually contributes to division, then it poses questions as to nationalism’s current function in society.

논문초록: 대부분의 외국 관찰자들은 특히 일본과 마찰이 있을 때나 올림픽, 월드컵 같은 주요 국제 스포츠 행사가 있을 때 한국의 민족주의적 정서가 매우 뚜렷하게 드러나는 특성때문에 강한 인상을 받는다. 그러나 이러한 관찰자들이 한국에서 상당한 시간을 보낸다면 한국 사회가 상충되는 이념, 지역적 적대감, 계층별 분리 및 기타 여러 사회적 단층으로 특징지어지는 매우 분열적인 모습이라는 것을 종종 깨닫게 된다. 자연스러운 질문은 외부 자극이 없는 상태에서 한국 사회를 통합하는 데 있어 이러한 민족주의가 어떤 역할을 하는지, 그리고 만약 아무 역할을 못 한다면 그 이유는 무엇인지에 대한 것이다. 이 글은 대체로 공통 혈통을 기반으로 한 민족주의 구축이 남북한 갈등 개선에 효과가 없다고 주장한다. 강정인과 정승현은 ‘민족주의에 의한 여타 이념의 중층결정’이라는 개념을 제시했다. 이것은 국가주의 또는 민족주의가 종교적 지위에 가깝기 때문에 이질적인 이념에 진정성, 정통성 또는 권위를 부여하는 데 사용된다는 개념이다. 과격한 좌파와 우파는 민족을 대표하는 ‘진짜’ 혹은 ‘진정한’ 민족성의 주인공이라는 입장에서 서로를 공격한다. 이것은 또한 남북한 정부들이 국민의 정당한 대표자로서의 정당성을 입증하기 위해 사용하는 방법이기도 하다. 본 글은 한국 민족주의의 형성 과정을 살펴본 후, 현대 한국 민족주의의 신성하고 종족적인 특성에 대한 문제를 제시하고 독특한 형성 과정이 실제로 분단에 기여하는 교리적 이념으로 귀결되었음을 상정한 다음, 한국 민족주의의 현주소를 알아보자고 한다.

Keywords

ethnic nationalism, tribalism, collective identity, ethnic unity, 종족주의, 민족주의, 집단 정체성, 민족적 통합성

PDF

Downloads

Download data is not yet available.